반응형

잘~-놀았다-우리아이
잘~ 놀았다 우리아이



아이들은 우리가 생각하는 것보다 훨씬 더 똑똑하고, 속이려 해도 속여지지 않는다. 아이를 잘 키우기 위해 우리는 아이에 대해 이해하고 사회력 문해력을 높여주는 놀이방법을 알아야 한다.

맞벌이 부부가 아이와 놀아 줄 시간이 부족하다면 다른 놀이 채쳐두고 블록 놀이를 하자!

1. 우리 아이의 마음을 읽을 수 있다면 얼마나 좋을까?

 

첫돌을 앞둔 아이는 점점 자기주장을 하는 것 같아 보인다. 그림책을 보여주면 한참을 들여다 보아 그림책을 좋아하나 싶기도 하지만 때로는 관심이 없어 보이고, 최애 장난감으로 꾀어봐도 그다지 좋아하지 않는다.

우리는 아이의 마음을 들여다보고 싶을 때가 한두 번이 아니다. 우리 아이는 지금 무슨 생각을 할까.. 최고의 친구가 되기 위해서 과학 논문에서 개월 수에 따라 평균적으로 영아들이 무엇을 인지하고 있는지 알아두면 부모들에게 도움이 될 것이다.


2. 개월 수에 따라 행동과 생각이 달라지는 우리 아이


2개월: 우리 아이는 뉴턴의 '만유인력의 법칙'을 직관적으로 안다!

바닥을 지지하지 않는 물건이 아래로 떨어진다는 것을 알고 숨긴 물건이 사라지지 않는다는 것도 파악한다.
또한 이때 아기는 부모가 자신을 안아주려는 행동을 예측한다. 팔을 뻗은 채 다가가면 몸을 뻣뻣하게 만들어 안기기 쉽도록 자세를 만든다

5개월: 단단한 고체와 모래나 물 등 비응집성 물질이 다르다는 것을 이해한다


6개월 : 실수인지 장난인지 상대방의 행동을 눈치챈다

장난감을 주는 척하다가 일부러 주지 않았을 때와 실수로 떨어뜨려 주지 못했을 때를 구분한다. 상대방의 의도를 파악해 화를 내거나 상황을 다시 기다리는 등 다른 반응을 보인다.

8개월: 부모의 행동을 예측한다.

아기는 부모가 무엇을 좋아하는지 알고 웃거나 잼잼 등 좋아하는 행동을 한다.

10개월: '부피'를 안다

서로 다른 양을 제시하면 지속적으로 더 많은 것을 선택한다. 작은 까까와 큰 까까를 주면 늘 큰 까까를 선택한다.

15개월: 상대방의 표정에 감정이입을 한다.

손가락을 다친척하며 고통스러운 표정을 지을 경우 아이들은 상황에 상관없이 표정에만 감정을 이입한다.

18개월 : 자신을 속일 때를 안다

원하는 물건을 얻었을 때 슬퍼하는 표정을 지을 경우 얼굴 표정과 상황이 일치하지 않을 때를 명확히 파악했다.
행동을 뚜렷하게 보며 부모의 반응을 살피는데,행동과 표정이 일치할 때 공감의 반응을 보였다.


아이의 행위와 관련된 30년간의 학술 논문을 분석한 미국 미주리대 교수는 "떨어지는 컵을 잡는 것은 우리가 생각하고 움직이는 것이 아니라 뇌가 정보를 처리하고 행동이 나타나는 것"이라며

"아이에게 말을 걸고 '까꿍'놀이를 하고, 안전한 물건을 만지게 하는 등 부모와 함께 하는 세상의 상호작용이 직관적인 물리학 지식을 더 개발하는데 도움이 된다"라고 말했다.
연구원들은 "어린 영아들이 자신이 어떤 표정을 지었을 때 부모들이 어떻게 반응했는지 등 경험 데이터를 바탕으로 타인의 슬픔을 감지하고 이에 따라 반응하는 능력을 발달시켜 나간다"며

"부모들은 종종 슬픔을 감추려 하지만 아기는 진실을 알고 있다"라고 말했다.

3. 춤추기! 과학자들이 인정한 효과적인 놀이들


따라 하기 놀이

연구진은 6개월의 아이에게 행동을 똑같이 혹은 반대로 흉내 낼 때 / 다른 행동으로 반응할 때를 관찰했다.
아기들은 낯선 사람의 행동임에도 자신을 모방할 때 더 오래 바라보고 미소를 지었다. 심지어 낯가림을 이겨내고 더 많이 접근하기도 한다.

이는 "유아의 행동을 모방하는 것은 유아의 관심을 끌고, 유대감을 형성하는 효과적인 방법인 것으로 환인 됐다"며 낯가림에 상처받았을 조부모에게도 좋은 방법일 수 있다.


함께 춤추는 놀이

생후 5개월에서 2세 사이의 영아를 대상 클래식 음악, 리드미컬한 비트, 대화 등의 다양한 음원을 들려준 뒤 아이들이 움직임을 음악에 맞추는 정도를 분석했는데 아기들이 음악에 반응하며 리드미컬하게 움직였다는 결론을 내렸다.

아이들을 움직이게 하는 것은 박자였다. 심지어 자신의 동작이 음악과 더 어울렸을 때 자아도취하며 더 웃었다. '아이는 춤추기 위해 타어난다'라는 새로운 연구결과이었다.


블록 쌓기 놀이

노래 등이 나오는 전자 장난감은 아이의 '방향 반사'를 활성화 하나 지나친 노출은 피해야 한다고 한다. 미국 노던애리조나대 연구진의 연구에 따르면 전자 장난감 놀이는 부모와 아이의 언어적 상호작용을 감소시킨다.

10~16개월 유아들과 부모에게 전자장난감 / 블록 / 유아용 책을 가지고 부모와 시간을 보내게 한 뒤 부모와 아이의 언어적 상호작용을 분석했는데 블록을 가지고 놀았을 때 아이와 대화로 전환되는 단어 사용이 현저히 많았다.

연구원들은 "맞벌이등 사회적 환경으로 자녀와 놀 수 있는 시간이 제한되어 있다면 블록놀이를 추천한다"

"아이와 언어적 상호작용을 증가시키고, 놀이 중 대화는 유아에게 언어를 가르치는 것 이상의 역할을 한다"며 "사회력을 키우고, 문해력의 토대를 마련한다"라고 덧붙였다.

 

 

 

 

 

혹시 우리아이도 아닐까? 우리아이 행동으로 보는 "소아사시"

소아사시는 원인이 확실치 않은 경우가 많고 소아에게 흔하게 나타나는 현상이다. 치료법은 비수술적 치료와 수술적 치료로 나뉘며 보편적으로 수술적 치료가 더 좋은 치료 효과를 보인다. 사

guma12.tistory.com

 

반응형